- 이름 임경환 관광학 박사 대표
- E-mail kh0929@urh.re.kr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| 부산시 |
(2025) |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김포시 |
(2025) |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| 경상남도 |
(2025) |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| 경상남도 창원시 |
(2025) |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K-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고부가 K-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2024 부산 관광두레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2024 관광기업지원센터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화암추등대 관광자원화사업 기본계획 수립 | 울산 동구청 |
(2024) | 2024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 평가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산청한방약초축제 아카이빙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플라이아시아 연계 데모데이 행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4회 산청한방약초축제 평가보고서 작성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울주복지재단 설립 타당성검토 복지분야 실무자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웰니스 관광지 컨설팅 및 인력 양성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부산 관광두레 육성사업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울산 중장기 발전방안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중장기 관광정책 수립 연구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0회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분석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및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함안 낙화놀이 축제 활성화 컨설팅 | 한국관광공사 |
(2023) |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태도가 일상적 행동 및 관광지에서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: 관광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| KCI |
(2023) | 다크투어리즘 관광지의 체험요인이 방문객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: 부산광역시 다크투어리즘 관광 자원을 대상으로 | KCI |
(2022) | 관광객이 지각하는 진정성 타입에 따른 경험요소와 행동의도의 차이: 역사문화관광지 북촌을 중심으로 | KCI |
(2021) | 무대화된 문화관광지의 관광경험에 따른 행동의도와 만족도의 매개효과 | KCI |
(2020) | 전문대졸 관광전공 청년 취업자와 사회계열 졸업자의 직무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| KCI |
(2020) | 메가이벤트 개최 국가의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와 관여도 및 친숙도의 관계: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사례로 | KCI |
(2020) | 관광 관련학과 대학졸업 청년 취업자의 직무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– 사회계열 주요학과와의 비교 | KCI |
(2019) | 체류형관광의 개념 및 특성 분석과 정책적 이슈 도출 | 한국문화관광연구원 |
(2019) | Motivational Landscape and Evolving Identity of a Route-Based Religious Tourism Space: A Case of Camino de Santiago | SSCI |
(2018) | 4년제 관광전공졸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| KCI |
(2017) | 관광학과 대학졸업자의 전공만족, 진로탐색행동,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| KCI |
(2011) | 제3차 관광개발 기본계획(안) | 한국문화관광연구원 |
(2010) | 2009년 기준 관광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| 한국문화관광연구원 |
(2010) | 사행산업 백서 | 한국문화관광연구원 |
(2010) | 3대문화권 문화·생태 관광기반 조성사업: 기본구상 및 계획수립 연구 | 한국문화관광연구원 |
(2009) | 세계산림대회 기본구상 및 타당성 분석 | 한국문화관광연구원 |
(2009) | 소득과 환율변동이 방한 일본인 관광 수요에 미치는 영향 | 세종대학교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| 부산시 |
(2025) |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김포시 |
(2025) |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| 경상남도 |
(2025) |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| 경상남도 창원시 |
(2025) |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K-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고부가 K-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2024 부산 관광두레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2024 관광기업지원센터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화암추등대 관광자원화사업 기본계획 수립 | 울산 동구청 |
(2024) | 2024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 평가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산청한방약초축제 아카이빙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플라이아시아 연계 데모데이 행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4회 산청한방약초축제 평가보고서 작성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울주복지재단 설립 타당성검토 복지분야 실무자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웰니스 관광지 컨설팅 및 인력 양성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부산 관광두레 육성사업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울산 중장기 발전방안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중장기 관광정책 수립 연구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0회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분석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및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함안 낙화놀이 축제 활성화 컨설팅 | 한국관광공사 |
(2024) | 울산 대표 미니어처 공원 조성계획 수립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산형 워케이션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3) | 울산시 정원관광 인식 및 방문객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3) | 웰니스 관광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 | 부산관광공사 |
(2023) |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및 빅데이터(소셜) 분석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데이터 분석을 통한 부산관광기업지원센터 고도화 전략방안 | 부산관광공사 |
(2022) | Python과 QGIS를 활용한 제주 올레길 이용객 행태분석: 코로나19 전·후를 중심으로 | KCI |
(2021) | 동남권 광역관광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동남권관광협의회 |
(2020) | 동정부 추진을 위한 사무이양 적정성 평가 및 신규 이양사무 분석 | 서울 중구청 |
(2020) | 한강 수변공간 마포지구 관광활성화 연구 | 한강사업본부 |
(2020) | 지속가능한 관광자원 잠재력 평가지표 개발 : 도시재생 지역을 중심으로 | 한국연구재단 |
(2019) | 서울시 중구형 주민자치회 운영 활성화 방안 | 서울 중구청 |
(2019) | 동정부 사업이양을 위한 동주민센터 조직진단 | 서울 중구청 |
(2019) | 테마별 관광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관광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: 부산 센텀시티를 중심으로 | 동서대관광·MICE 센텀산업단지캠퍼스 조성사업단 |
(2018) | 「도봉문화재단」 도봉구 문화예술인(단체) 실태조사 | (재)도봉구문화재단 |
(2018) | 도봉구 무지개다리 사업 문화다양성 관련 조사 및 연구 | (재)도봉구문화재단 |
(2018) | 부산시 관광자원 잠재력을 활용한 관광상품 개발 및 코스 개발 | 동서대관광·MICE 센텀산업단지캠퍼스 조성사업단 |
(2017) | 2017 강원도 문화예술단체 및 문화기반시설 현황조사 | (재)강원문화재단 |
(2017) |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중장기 실행계획 수립연구 | 문체부/한국관광공사 |
(2017) | 수원시 역사·문화관광지 재생 PM단 활용 재생사업 지표개발 | 수원시정연구원 |
(2016) | 마포 홍대관광특구 지정연구용역 | 마포구청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| 부산시 |
(2025) |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김포시 |
(2025) |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| 경상남도 |
(2025) |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| 경상남도 창원시 |
(2025) |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K-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고부가 K-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2024 부산 관광두레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2024 관광기업지원센터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화암추등대 관광자원화사업 기본계획 수립 | 울산 동구청 |
(2024) | 2024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 평가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산청한방약초축제 아카이빙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플라이아시아 연계 데모데이 행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4회 산청한방약초축제 평가보고서 작성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울주복지재단 설립 타당성검토 복지분야 실무자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웰니스 관광지 컨설팅 및 인력 양성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부산 관광두레 육성사업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울산 중장기 발전방안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중장기 관광정책 수립 연구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0회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분석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및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함안 낙화놀이 축제 활성화 컨설팅 | 한국관광공사 |
(2024) | 울산 대표 미니어처 공원 조성계획 수립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산형 워케이션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3) | 울산시 정원관광 인식 및 방문객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3) | 웰니스 관광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| 부산시 |
(2025) |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김포시 |
(2025) |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| 경상남도 |
(2025) |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| 경상남도 창원시 |
(2025) |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K-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고부가 K-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2024 부산 관광두레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2024 관광기업지원센터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화암추등대 관광자원화사업 기본계획 수립 | 울산 동구청 |
(2024) | 2024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 평가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산청한방약초축제 아카이빙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플라이아시아 연계 데모데이 행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4회 산청한방약초축제 평가보고서 작성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울주복지재단 설립 타당성검토 복지분야 실무자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웰니스 관광지 컨설팅 및 인력 양성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부산 관광두레 육성사업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울산 중장기 발전방안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중장기 관광정책 수립 연구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0회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분석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및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함안 낙화놀이 축제 활성화 컨설팅 | 한국관광공사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| 부산시 |
(2025) |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김포시 |
(2025) |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| 경상남도 |
(2025) |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| 경상남도 창원시 |
(2025) |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K-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고부가 K-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2024 부산 관광두레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2024 관광기업지원센터 성과공유회 기획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화암추등대 관광자원화사업 기본계획 수립 | 울산 동구청 |
(2024) | 2024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대회 평가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산청한방약초축제 아카이빙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플라이아시아 연계 데모데이 행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4회 산청한방약초축제 평가보고서 작성 | (재)산청축제관광재단 |
(2024) | 울주복지재단 설립 타당성검토 복지분야 실무자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웰니스 관광지 컨설팅 및 인력 양성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부산 관광두레 육성사업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반려동물 친화관광도시 울산 중장기 발전방안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중장기 관광정책 수립 연구 용역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제20회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분석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4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및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함안 낙화놀이 축제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 사업 | 한국관광공사 |
(2024) | 울산 대표 미니어처 공원 조성계획 수립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주 트레일 나인피크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산형 워케이션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3) | 울산시 정원관광 인식 및 방문객 설문조사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울산 예비 관광두레 PD 교육 컨설팅 운영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3) | Using Kano model to understand an effect of specialization and perceived risk on demand for services in marine tourism | SSCI |
(2023) | 지방공항 연계 지역 관광 활성화 사례분석 및 전략수립 | 한국관광공사 |
(2023) | 웰니스 관광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 | 부산관광공사 |
(2023) | 울산쇠부리축제 설문조사 및 빅데이터(소셜) 분석 | (재)울산연구원 |
(2023) | 부산관광기업 현황 데이터 구축 연구 | 부산관광공사 |
(2020) | 문화관광지 체험이 지각된 가치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연구 | KCI |
(2020) | 2021 경영평가 주요사업 계량지표 연구개발 | 한국관광공사 |
(2020) | 도시관광 재생사업이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, 주민참여에미치는 영향 | KCI |
(2020) | 동남권 광역관광 활성화 방안 수립 용역 | 동남권광역관광본부 |
(2019) | 한강 수변공간 마포지구 관광활성화 | 한강사업본부 |
(2019) | 부산·울산 강소형 잠재관광지 발굴·육성 컨설팅 보고서 | 한국관광공사 |
(2019) | 지속가능한 관광자원 잠재력 평가지표 개발: 도시재생 지역을 중심으로 | 한국연구재단 |
(2019) | 지속가능한 마을재생 지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: 부산 감천문화마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| KCI |
(2018) | 마을재생을 통한 지역주민 삶의 질에 관한 영향연구: 부산 감천문화마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| KCI |
(2017) | 강원도 문화예술단체 및 문화기반시설 현황조사 | (재)강원문화재단 |
(2017) | 동북아 크루즈 관광 동향 연구 | (사)제주크루즈산업협회 |
(2017) | 관광자원 잠재력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: 경기도 수원시지역을 중심으로 | KCI |
(2017) |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중장기 실행계획 수립연구 | 문체부/한국관광공사 |
(2017) | 지속가능한 문화적 관광지 재생 활성화 방안 | KCI |
(2017) |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권역 PM단 : 인천, 파주, 수원, 화성 | 문체부/한국관광공사 |
(2017) | 수원시 역사·문화관광지 재생 PM단 활용 재생사업 지표개발 | 수원시정연구원 |
(2017) | 관광지유형별 재생사업 지표활용연구 |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|
(2017) | 전시컨벤션센터의물리적 환경, 고객만족, 행동의도간의구조관계연구 | KCI |
(2016) | 마포 홍대관광특구 지정연구용역 | 마포구청 |
(2016) | 파주 통일동산일원 관광특구 지정 연구 용역 | 파주시청 |
(2016) | 관광지 재생 사업의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| 한국연구재단 |
(2016) | 제주지역 방문관광객 수요전망 및 제주오라관광단지 숙박 시설공급 적정성분석 | 제이씨씨 그룹 |
(2016) | 지역축제 브랜드자산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: 브랜드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| KCI |
(2016) | 조직변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: 서비스 사이언스를 관점으로 | KCI |
(2015) | 아시아 크루즈 리더스 네트워크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연구 | (사)제주크루즈산업협회 |
(2015) | 수원화성 관광특구 진흥계획 수립 | 수원시청 |
(2015) | 중국어 관광채널 설립 타당성 연구 | 한국관광공사 |
(2014) | 소규모 문화공간 조성을 위한 조사 연구 | 화성시청 |
(2014) | 화성시 말(馬)산업 육성을 위한 발전방안 계획수립연구 | 화성시청 |
(2013) | 화성시 문화컨텐츠 구축을 위한 기본 조사 및 분석 | 화성시청 |
(2013) | 화성시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권역별 특성화 방안 | 화성시청 |
(2013) | 관광체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|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| 부산시 |
(2025) |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김포시 |
(2025) |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| 경상남도 |
(2025) |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| 경상남도 창원시 |
(2025) |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K-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고부가 K-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4) | 관광협업이 협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: 2030부산월드엑스포를 중심으로 | 부산대학교 |
(2021) | 관광두레 지역관광콘텐츠 진단 | 한국관광공사 |
(2020) |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5권역 PM단 | 문체부/한국관광공사 |
(2019) | 2019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PM 기획사업 | 문체부/한국관광공사 |
(2018) | 2018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PM 기획사업 | 문체부/한국관광공사 |
(2018) | 대한민국 테마여행 10선 5권역 PM단 | 문체부/한국관광공사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2030 부산관광진흥 계획 수립 | 부산시 |
(2025) | 김포시 야간정책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| 김포시 |
(2025) | 경상남도 이순신 승전길 활성화 실행사업 | 경상남도 |
(2025) | 제63회 진해군항제 평가 및 방문객조사 | 경상남도 창원시 |
(2025) | 부산슈퍼 고도화 및 시장진출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관광스타트업 공모 및 연장심사 운영 | 부산관광공사 |
(2025) | K-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 실행계획 수립 | 부산관광공사 |
(2024) | 고부가 K-관광 종합계획 수립 연구 | (재)울산문화관광재단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Forecasting international tourist arrivals in South Korea: a deep learning approach. | SSCI |
(2025) | Exploring service scape in coastal and marine tourism: insights from text mining and application of Kano model | SSCI |
(2024) | Public Perception and Response to Nuclear-Contaminated Water Release in Coastal and Marine Tourism: The Case of South Korea | SSCI |
(2024) | Strategies for Promoting Coastal and Marine Tourism Based on the Recognition of Marine Heritage in the Endemic Period Using Text Mining | SSCI |
(2024) | A study on demand forecasting for Gimhae tourist destinations using time series analysis | 한국, 김해 |
(2024) | Demand Forecasting Model for Tongyeong's Marine Tourism Destinations | 한국, 통영 |
(2024) |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엔데믹 시대 해양유산 인식 기반 해양관광 활성화 방안 | 2024 PhiNX* 보호학문 차세대육성사업 |
(2023) |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일본 원전 오염수 방류와 해양관광 활성화 연구 | 2023 PhiNX* 보호학문 차세대육성사업 |
(2023) | 2023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nomics, Management and Social Sciences | 중국, 시안 |
(2023) |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ourism and Tourism Industry (ICTTI- 2023) | 영국, 런던 |
(2023) | Forecasting tourism demand for Jeju Island in the COVID-19 pandemic era | 한국, 제주 |
(2023) |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ourism Industry and Exchange Rate: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the UK during the COVID-19 Era | SCOPUS |
(2023) | Forecasting CPI of restaurants and hotels in Korea using the seasonal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(SARIMA) model | KCI |
(2023) | 관광호텔 객실매출액 예측에 관한 연구 | KCI |
(2023) | SARIMA 를 이용한 국내 호텔 객실 매출에 관한 시계열 분석 연구 | KCI |
(2022) | 계절 ARIMA 모형을 이용한 울산 고래관광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| KCI |
(2022) | 시계열 분석을 통한 관광목적지 수요예측 - 감천문화마을 중심으로 - | KCI |
(2022) |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ourism industry in the COVID-19 pandemic | KCI |
(2025) | 제 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제21회 울산쇠부리축제 평가 | 울산쇠부리축제추진위원회 |
(2025) | EXPLORING THE IMPACT OF TECHNOLOGY ORIENTATION ON PHYGITAL SPACE PERCEPTION AND LUXURY CONSUMPTION EXPERIENCES IN ANIMAL CROSSING: NEW HORIZONS | SSCI |
(2025) | Customers' Mindset About Coffee Value in Comparison: ROBOT versus BARIST | SCOPUS |
(2024) | 애니메이션 배경지의 특성이 시청자의 진정성과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| KCI |
(2024) | e스포츠 인플루언서 특징이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후원의도에 미치는 영향: 아프리카TV와 치지직을 중심으로 | KCI |
(2024) | How a product's online source of information affects consumers'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s | KCI |
(2024) |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(AI) chatbot characteristics on customer experie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| SCOPUS |
(2023) | 메타버스 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| KCI |
(2023) | e스포츠 개발사의 CSR활동이 진정성, 가치일치성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| KCI |
(2023) | e스포츠의 어포던스 특징이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 : 스크린골프를 중심으로 | KCI |
(2023) | 시청 문화의 변화와 e스포츠 콘텐츠 시청 동기가 심리적 행복감, 에반젤리즘,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| KCI |
(2023) | e스포츠 이용자와 캐릭터 상호작용이 이용자-소비자의 욕구충족과 굿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: O4O 개념을 중심으로 | KCI |
(2023) | 모바일 앱 리뷰분석을 활용한 e스포츠 활성화 방안: 모바일 배틀그라운드를 중심으로 | KCI |
(2023) | The Influence of Value Co-Creation Behavior on eSports Preferences, Intentions to Play Continuously and Spread e-WOM in eSports Culture | KCI |
(2023) | e스포츠의 NFT 활용 사례와 활성화 방안 논의 | KCI |
(2023) | 럭셔리 브랜드와 e스포츠 콜라보레이션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: e스포츠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O4O(Online for Offline) 관점에서 | KCI |
(2023) | SNS 정보 특성과 인플루언서 특성이 정보 만족, 인플루언서 애착,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: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중심으로 | KCI |
(2022) | 럭셔리 브랜드와 e스포츠의 콜라보레이션을 활용한 가치창출 사례연구 | KCI |
(2022) | 공공캠페인에 대한 수용자 문화의 행동 프로세스 연구 : 영국프리미어리그 시청자와 FIFA21 유저의 차이를 중심으로 | KCI |
(2022) | 기업 및 소비자의 SNS 정보원천이 제품신뢰,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: 인플루언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| KCI |
(2022) | eスポーツユーザーのeWOM情報提供で発生した認知副調和が自己合理化 と推薦意図に及ぼす影響: 韓国と日本のeスポーツユーザーを中心に | KCI |
(2022) | e스포츠 커뮤니티에서 유저의 긍정적 부정적 eWOM의 정보제공 성향이 인지부조화, 자기합리화,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| KCI |
(2021) | OTT 서비스 플랫폼 특성이 심리적 혜택 및 OTT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-가족의 형태 중심으로- | KCI |
(2021) | OOTT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の特性がリレーショナルメリットと消費者の満足度に及ぼす影響 | KCI |
(2021) | 온라인 쇼핑몰의 특성이 소비자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-온라인 플랫폼 형태 차이를 중심으로- | KCI |
(2020) | Effect of Sports Fans’ Hope on BIRF Behavior and Long-term Orientation of the Parent Company: Focusing on Local Nepotism | KCI |
(2019) | The Effect of Salesperson's Adaptive Selling Tactics on Shopping Value, Commitment, and Product Satisfaction - Focused o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’ product - | KCI |
(2019) | 지방은행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서비스 품질증진 방안에 대한 연구 | KCI |
(2018) | 온라인 커뮤니티특징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- 소비자의 성별과 자기해석 수준차이를 중심으로 | KCI |